라즈베리파이 랜케이블로 pc 와 접속하기

watch_later 토요일, 12월 16, 2017

네트워크로 접속하지 않고, 직접 라즈베리 파이랑 접속하고 싶을 때. 랜포트와 일반 랜선으로 라즈베리 파이에 접속할 수 있다.

  1. 현재 자신의 랜카드에 할당된 ip 를 얻거나 수동으로 ip 를 할당한다.
    enter image description here

  2. 라즈베리 파이 usb 를 리더기로 읽는다.

  3. boot 라는 이름의 드라이브를 연다.
  4. cmdline.txt 를 연다.
  5. 이것은 한 줄짜리 파일이다. 엔터를 치지 말고 마지막 문자열 뒤에 다음을 입력한다.
    ip = 랜카드와 앞 세 영역의 숫자는 같고 마지막 숫자만 다른 ip 주소
    예) ip=169.254.177.3

  6. 실제로 확인을 해보면 다음과 같이 출력된다.

    pi@raspberrypi:/boot $ cat cmdline.txt
    dwc_otg.lpm_enable=0 console=serial0,115200 console=tty1 root=/dev/mmcblk0p2 rootfstype=ext4 elevator=deadline fsck.repair=yes rootwait module-load-dwc2,g_ether ip=169.254.177.3
  7. 파이를 재부팅한다.
  8. 랜선을 각각 파이와 pc 에 꽃는다.
  9. pc 에서 다음의 명령어로 파이에 접속을 한다.

    ssh pi@raspberrypi.local

라즈베리 파이 제로의 경우 usb 케이블로도 접속이 가능하다고 한다.

라즈베리파이 3은 전원 충전용 usb 만 있어서 접속이 불가함.

관련 글